09-03

[비과세] 오피스텔 매도시 해외 이주 특례 적용 가능 여부

- 2025년 12월 제 명의의 오피스텔 완공 예정 - 2027년 6월 덴마크 비자 취득 후 해외 이주 예정 -> 해위 이주 특례(소득세법 시행령 제 154조 1항 3호) 조건 Q1. 오피스텔을 임대만 주면 실거주로 활용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나요? Q2. 임대만으로 인정이 안된다면, 반드시 본인이 거주해야 하나요? - 오피스텔 명의자: 34세 기혼 남성 (외국인 와이프) - 1가구 1주택 해당 (현재 부부 둘이 월세살이중, 와이프 명의로 계약
1개의 전문가 답변
채택된
답변
안녕하세요? 삼도회계법인 최지호 세무사 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해외이주 특례(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 제1항 제3호)는 세대 전원이 해외이주를 하는 경우 주택 보유기간 중 거주기간 요건을 면제해주는 규정입니다. 다만 이 특례가 적용되려면 해당 주택이 실제 거주용 주택이어야 하며, 단순 임대는 거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국세청 예규에서도 임대만 한 주택은 거주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비과세 적용이 불가하다고 명확히 판단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오피스텔을 임대만 줄 경우 실거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또한 본인이 실제로 거주해야만 거주요건을 충족할 수 있으며, 본가에 거주하면서 오피스텔을 ‘서브하우스’로 소유하는 방식은 거주로 보지 않습니다. 이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154조 제1항 본문과 다수 예규에서 “주민등록만 이전하고 실지 거주하지 않는 경우는 거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외이주 특례를 적용받으려면 완공된 오피스텔에 일정 기간이라도 실제로 거주해야 함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저는 부동산 관련 세법, 경매학원 강의, 양도/상속/증여 등에 대한 내용으로 블로그 운영 중입니다. 블로그 주소는 https://blog.naver.com/cchh19이고,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wchoi1990@gmail.com 또는 010-7667-8698 최지호 세무사로 연락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답변 게시판을 통한 답변은 질문에 기재된 내용만을 참고하여 현행 세법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간단한 답변으로 세무대리 업무가 아닙니다.
택슬리 및 답변을 한 전문가에게 법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실제 업무를 진행하실 때, 반드시 개별 전문가와 상세 내역을 검토 후에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나도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