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0

협의분할로 부동산 상속 시 반드시 등기해야 하나요?

1) 미등기건물가 있어 상속등기가 당장은 어려울 듯 싶습니다. 협의분할서 작성하고 상속세 신고이후 향후 해도 무방할까요? 2) 등기절차 없이 상속세와 취득세만 미리 납부할 수 있을까요?
2개의 전문가 답변
채택된
답변
안녕하세요? 바른 세무회계 박수형 세무사 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1) 미등기 건물이 있는 경우 무허가 건물등으로 판단됩니다. 협의분할은 무허가건물등을 포함하여 재산을 분할할수는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협의분할을 통해서 소유권을 정리한뒤 해당 등기는 조속히 정리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협의분할서를 통해서 이후 법적 증빙서류가 갖추어진다면, 무허가건물의 등기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정확한 진행과정과 확실한 답변을 위해서는 법무사를 통해서 상담 받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등기는 최소한의 건축물 대장이 존재해야 가능합니다.) 2) 등기절차 없이 상속세는 신고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취득세의 경우 해당 등기가 없다는 점에서 당장의 취득세 신고가 불가능합니다. 취득세 신고의 경우 대부분, 법률전문가인 법무사가 정리하여 주십니다. 하지만 취득세는 '공부상의 등기등'을 요하는 자산으로서 취득 원인 및 원인에 따라 세율이 정리된다는 점에서 위 상담내용에서는 등기를 할수 없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현시점에는 불가능 할 것이라 판단됩니다. 요약드리겠습니다. 1) 미등기건물도 재산으로서 상속재산에 포함하여 상속세는 신고하여야 합니다. 해당 재산의 협의분할을 통해서 소유권을 정리하되, 피상속인의 재산내역이 달라질 사안이 아니라는 점에서 필히 상속재산에 포함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협의분할을 통해서 상속인의 소유권 이전 내용을 필히 기재하셔야 합니다. 그와 별론으로 등기는 상속세 신고이후에 진행하셔도 크게 무리가 될것 같지 않습니다. 협의분할서 등을 통해서 충분히 가능할것이라 판단되네요. (정확한 상담을 위해서는 법무사를 통해서 상담진행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2) 등기절차가 없어도 국세인 '상속세'신고는 가능합니다. 해당 미등건물의 평가를 통해서 피상속인의 소유재산임과 동시에 가액을 확정하여 신고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취득세의 경우 최소한의 건축물 대장 및 등기가 존재해야 취득세 납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 시점 당장의 취득세는 납부할수 없습니다. 위 1)의 내용의 연장선으로 조속히 건축물 인허가등을 통해서 지자체를 통해서 대장과 등기를 정리하신뒤 취득세를 납부하셔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를 해태하게 될시 추후 양도소득세 신고시 불이익이 존재합니다. 이는 필히 세무전문가와 대면상담을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자연세무회계컨설팅 김주성 세무사 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미등기건물가 있어 상속등기가 당장은 어려울 듯 싶습니다. 협의분할서 작성하고 상속세 신고이후 향후 해도 무방할까요? -->네 가능합니다 그러나 취득세신고는 하시고 납부도 하시는게 유리합니다. 2) 등기절차 없이 상속세와 취득세만 미리 납부할 수 있을까요? -->가능합니다.
더보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통한 답변은 질문에 기재된 내용만을 참고하여 현행 세법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간단한 답변으로 세무대리 업무가 아닙니다.
택슬리 및 답변을 한 전문가에게 법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실제 업무를 진행하실 때, 반드시 개별 전문가와 상세 내역을 검토 후에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나도 질문하기
channelTalk-i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