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24

입주권 자금조달계획서 작성 문의

입주권의 자금조달 계획서 관련 문의드립니다. 1. 입주권의 경우 소명해야하는 금애기 초기투자금(권리금+프리미엄), 또는 최종매매가(조합원분양가-권리금+프리미엄)인지 궁금합니다. 2. 직계가족이 아닌 제3자 금전무상대차시 2억까지는 증여세가 안나오는 것으로 아는데 이는 1인당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3명의 지인에게 무상으로 2억씩 총 6억을 빌릴 경우 이를 동일한 거래로 보는지 문의드립니다. 3. 기존 주택 매도 중 중도금이 들어온 상태에서 자금조달계획서 작성 시 예금 잔액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1개의 전문가 답변
채택된
답변
안녕하세요? 세무회계 새벽 고유빈 세무사 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입주권 자금조달계획 (1) 조합원입주권을 관리처분계획인가일 이후 매수하시는 경우 입주권 거래는 토지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 때는 토지 취득에 대한 자금조달계획서를 작성하셔야 합니다. 이 때 토지 상태 거래에 대해 작성하는 금액은 (권리가액 + 프리미엄)입니다. (2) 입주권으로 취득한 신축주택에 대해서는 주택 자금조달계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 때 자금조달계획서 작성 금액은 총 매수가액을 기준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다만 총 매수가액으로 작성하였기에, (1)에서 작성했던 토지 취득에 대한 금액(권리가액+ 프리미엄)을 6번의 부동산 처분대금 등 칸에 기재하여야 합니다. 즉, (1) 입주권 취득시점에서 토지에 대한 취득자금조달계획서 작성, (2)에서 전체 총 금액을 대상으로 주택에 대한 자금조달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소명이 필요한 금액은 모든 절차를 통틀어 부담한 총 금액이 됩니다. 2. 인당 기준입니다. 부모의 경우 동일인으로 보아 합산해야 한다는 예규도 있어 의견이 엇갈리는 부분이지만, 제 3자의 경우는 모두 각각 기준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3. 기존 주택 매도에 따라 중도금을 받으신 경우로서 이를 부동산 취득에 사용하시는 경우 이는 자금조달계획서 6번 부동산 처분대금 등 칸에 작성하시면 됩니다. 예금액에 기재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래는 저희 블로그 관련 포스팅입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부동산 소명업무 관련 소개 : https://blog.naver.com/tax_dawn/223700212472 자금조달계획서 작성 예시 : https://blog.naver.com/tax_dawn/223660822753 자금조달계획서 작성 : https://blog.naver.com/tax_dawn/223578010605 자금조달계획서 Q&A 목차 정리 : https://blog.naver.com/tax_dawn/223808314518 부동산원 실거래조사 소명 : https://blog.naver.com/tax_dawn/223544195313
*질문답변 게시판을 통한 답변은 질문에 기재된 내용만을 참고하여 현행 세법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간단한 답변으로 세무대리 업무가 아닙니다.
택슬리 및 답변을 한 전문가에게 법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실제 업무를 진행하실 때, 반드시 개별 전문가와 상세 내역을 검토 후에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나도 질문하기
channelTalk-i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