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시간 전

"전세낀 아파트" 부부간 일반증여 후 전세금반환 문제

- 아내 → 남편으로 일반증여 진행 (보증금(2억) 반환의무는 아내에게 있음) - 전세 재계약 시점: 임대인 명의를 남편으로 변경하였지만 세입자가 그대로 이며, 현재까지 그 때 당시의 세입자는 여전히 거주중입니다. 재계약 시 임대인을 남편으로 변경하면서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았다면 → 사실상 남편이 보증금을 인수한 효과 → “당시 일반증여가 아니라 부담부증여였던 게 아니냐”라는 문제가 있을까요?? 2026년에 전세낀상태(기존세입자)로 매도를 할 때, 아내가 남편에게 2억을 이체해도 실질적인 보증금 반환의무 이행으로 간주될까요??
0개의 전문가 답변
전문가 회원만 답변 가능하며, 답변 시 수임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질문답변 게시판을 통한 답변은 질문에 기재된 내용만을 참고하여 현행 세법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간단한 답변으로 세무대리 업무가 아닙니다.
택슬리 및 답변을 한 전문가에게 법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실제 업무를 진행하실 때, 반드시 개별 전문가와 상세 내역을 검토 후에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나도 질문하기